CUDA 10.1 설치 이후 Visual Studio 2019에서 CUDA 10.1 템플릿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아,

다음 방법으로 해결하여 기록을 해둡니다.

 

여기서 템플릿을 CUDA로 검색해도 템플릿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Cumminity 버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Community버전이 아닌 Professional이나 Enterprise이면 버전에 맞게 경로를 변경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1. 아래 경로의 파일들을 모두 복사해서

C:\Program Files\NVIDIA GPU Computing Toolkit\CUDA\v10.1\extras\visual_studio_integration\MSBuildExtensions

 

아래 경로로 복사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Community\MSBuild\Microsoft\VC\v160\BuildCustomizations

 

2. 다음 디렉토리에서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Community\Common7\IDE\Extensions\NVIDIA

"CUDA 10.1 Wizards\10.1"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즉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Community\Common7\IDE\Extensions\NVIDIA\CUDA 10.1 Wizards\10.1

이렇게 되도록 합니다.

 

3. 아래 경로 파일의 바로가기를 우선 바탕화면에 만들어둡니다. (권한때문에 복사하려는 디렉토리에 바로가기가 만들어지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C:\ProgramData\NVIDIA GPU Computing Toolkit\v10.0\extras\visual_studio_integration\CudaProjectVsWizards\2019\extension.vsixmanifest

C:\ProgramData\NVIDIA GPU Computing Toolkit\v10.1\extras\visual_studio_integration\CudaProjectVsWizards\Nvda.Vsip.CudaWizards.dll.pkgdef

 

그리고 바로가기 파일들을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Community\Common7\IDE\Extensions\NVIDIA\CUDA 10.1 Wizards\10.1

디렉토리에 복사를 합니다.

3번 스텝의 결과는 이런 모습이 되어야합니다.

 

4. Visual Studio 개발자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VS 2019으로 검색하면 찾기 쉽습니다.

 

devenv.com /setup /nosetupvstemplates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evenv.com /setup /nosetupvstemplates

 

5. Visual Studio 2019를 시작합니다.

Cuda로 검색해보면 이제 정상적으로 템플릿이 나타납니다.

 

 

참고 LINK

https://docs.nvidia.com/cuda/cuda-installation-guide-microsoft-windows/index.html

https://devtalk.nvidia.com/default/topic/1049858/cuda-setup-and-installation/msvs-2019-and-cuda-10-1-issues/

윈도우 환경에서 임시 테스트 해봄. spark 2.3.0

 

#Parquet 파일에서 data frame 읽기

 

val df = spark.read.parquet("d:\\test.parquet")
df.createOrReplaceTempView("TestView")
var namesdf = spark.sql("SELECT RoundX FROM TestView WHERE Col = 31 AND Row = 40")
namesdf.count()
namesdf.map(attributes => "Name: " + attributes(0)).show()

 

 

#csv 파일에서 data frame 읽기

import org.apache.spark.sql.types._

val schema= StructType(Array(
    StructField("PosX",        FloatType,false),
    StructField("PosY",        FloatType,false),
    StructField("Col",             ShortType,true),
    StructField("Row",         ShortType,true),
    StructField("Id",    IntegerType,true),
    StructField("Label",            StringType,true)))

val df = spark.read.format("csv").option("header", "false").option("delimiter", ",").schema(schema).load("test001.csv")

 

 

#dataframe을 하나의 Parquet 파일로 저장하기. 

df.coalesce(1).write.format("parquet").mode("append").save("d:\\tmp\\test003.parquet")

 

 

 

#dataset을 하나의 Parquet 파일로 저장하기

tiny = spark.sql("SELECT * FROM db.big_table LIMIT 500")
tiny.repartition(1).write.parquet("d:\\tmp\db.tiny_table.parquet")

 

 

#scala script 읽기

spark-shell에서

:load test.scala

D:\Logs\2019\20190803\LOG_A_20190803.txt 형식으로 작성이 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log4net>

  <appender name="DebugAppender" type="log4net.Appender.DebugAppender" >

    <layout type="log4net.Layout.PatternLayout">

      <conversionPattern value="%date [%thread] %-5level %logger - %message%newline" />

    </layout>

  </appender>

  <appender name="RollingLogFileAppender" type="log4net.Appender.RollingFileAppender">   

    <file type="log4net.Util.PatternString" value="D:\Logs\%date{yyyy}\%date{yyyy}%date{MM}%date{dd}\LOG_" />

    <datePattern value="'A_'yyyyMMdd'.txt'" />

    <param name="AppendToFile" value="true" />

    <param name="rollingStyle" value="Date" />

    <staticLogFileName value="false" />

    <layout  type="log4net.Layout.PatternLayout">

      <param name="conversionPattern" value="%date [%thread] %-5level %logger [%property{NDC}] - %message%newline" />

    </layout>

  </appender>

  <root>

    <level value="ALL"/>

    <appender-ref ref="DebugAppender" />

    <appender-ref ref="RollingLogFileAppender" />

  </root>

</log4net>

cmd 창을 자주 사용하게 되어, 작업 표시줄에 등록해서 사용중입니다.

그런데, cmd를 관리자모드로 열고 싶은데, 마우스 오른쪽 눌러서 관리자모드로 열기가 귀찮더군요.

 

기본으로 관리자모드로 열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명령프롬프트 속성 / 바로가기 탭에서 고급 버튼을 누릅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체크 하시고 확인!

국내에서도 드디어 온라인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는군요.

 

스위치 온라인을 이용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게임입니다.

(저는 일본 온라인 계정을 미리 사용하는 중이었습니다..)

 

99명과 온라인으로 대결한다는 컨셉이 흥미롭습니다.

게임을 시작하면 같이 대결할 온라인 멤버들을 기다립니다.

기다리는데 오래걸리지 않고 생각보다 빨리 진행됩니다.

진입화면입니다. 단순합니다^^;

 

 

로비에서 대기하는 중입니다. 99명이 다채워지면 게임이 시작됩니다.

초록색 육각형. 특정인을 꼬집에서 공략할 수 도 있습니다.

먼저 죽게 되면 K.O. 순위가 먹여집니다.

 

 

망했다.mp4

 

 

 

99명과 테트리스 대전을 펼치는 와이프님입니다.ㅎㅎ

 

 

나름 테트리스 좀 한다고 생각했는데, 99명중에 8등도 쉽지 않군요... 8등도 잘한겁니다 ㅠㅠ

 

죽고 난뒤 다른 매치에서 계속 하고 싶다면 A를 좀 길게 눌러주면 됩니다.

 

 

테트리스가 엄청나게 오래된 게임인데, 온라인 실시간 대결하면서 즐기니 또 다른 새로운 느낌입니다.!

윈도우 환경으로 소개를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 프로그램에서 linux 커맨드로도 실행이 가능합니다.

DVD -> MP3 추출 프로그램

좋아하는 영화 DVD에서 어학공부 등을 하기 위해 MP3 등을 추출할 때 좋습니다..

http://www.icepine.com/free-dvd-to-avi-converter/

Output format에서 MP3나 AVI-H264등의 코덱으로 뽑아 낼 수 있습니다.

 

파일 변환 프로그램 FFMPEG

ffmpeg은 굉장히 유명한 라이브러리이자 툴입니다. 각종 영상프로그램에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https://ffmpeg.zeranoe.com/builds/win64/static/

static 빌드를 한 파일을 이용해 command line으로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그중 파일 합치기(같은 코덱) 작업일 경우 아래와 같이 수행합니다.(윈도우)

 

ffmpeg -f concat -i list.txt -c copy [output파일명]

 

list.txt 파일에는 합쳐야 할 대상 파일을 저장해놓으면 됩니다.

file [파일명(확장자포함)]

file [파일명(확장자포함)]

file [파일명(확장자포함)]

 

 

MKV 컨테이너 정보 수정 프로그램  MKVToolNix

 

mkv는 동영상 컨테이너 확장자로써, 각 언어별 영상, 음성, 자막 등의 기능을 제공해주는 파일 확장자입니다.

이 툴을 이용해서 mkv의 영상 음성 순서를 변경하거나 첨부하거나 조작할 수 있습니다.

고화질 파일을 구했고, MP3 한글 더빙 파일이 있는데, 결합하고 싶다.. 이러면 이 툴을 이용하면 됩니다.

 

https://mkvtoolnix.download/downloads.html

 

음성의 지연 시간 조절등으로 타이밍 조절이 가능합니다.

소스파일 추가를 통해서 합칠 파일들을 추가하고, 아래 코덱에서 뺄 것들을 체크 해제하거나. 속성 창에서 조절할 항목들을 세팅한 한 후, 합치기 시작하면 됩니다. MKV는 영상의 컨테이너 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업이 빨리 끝납니다.

svn 서버를 설정하고 client에서 checkout 시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날 수 있습니다.

 

svn: E170013: Unable to connect to a repository at URL 'http://192.168.0.70:9000/!/%23testsource'
svn: E175009: The XML response contains invalid XML
svn: E130003: Malformed XML: no element found at line 1

 

client버전 문제다.. 서버문제다. 이야기들이 많은데,

 

주소가 잘못되어서 그럴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 주소 문서에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https://www.visualsvn.com/support/topic/00102/

 

 

 

1. http로 서비스 되는 주소로 직접 들어갑니다.

 

2. svn 리포지토리로 로그인해서, 오른쪽 상단에 아래처럼 보이는 버튼을 클릭합니다.

3. 그럼 리포지토리 URL이 나올텐데요. 이 URL로 접속 시도를 하면 됩니다.

 

 

가끔 npm 버전이 낮은 경우 npm 패키지 설치가 잘 안될때가 있습니다.

npm 버전을 최신으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기준 버전은 Node v10.15.3, NPM 6.4.1 입니다.

 

1.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아래 커맨드를 실행

 

Set-ExecutionPolicy Unrestricted -Scope CurrentUser -Force

 

 

3. 다시 아래 커맨드로 npm-windows-upgrade 설치

 

npm install -g npm-windows-upgrade

 

4. 이후 아래 명령어로 원하는 버전 설치

 

대개의 경우는 위 단계로 잘 마무리가 됩니다. 노트북에 npm-windows-upgrade 설치시에도 그랬구요.

 

========

그런데, 뭐가 잘 못 됬는지, 에러 안내 메시지처럼 npm -i npm 명령어를 쳐서 그런건지..

제대로 설치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류 메시지와 함께, 아래 링크를 주면서 따라해보라 하는데도 안됩니다.

https://github.com/felixrieseberg/npm-windows-upgrade#usage

 

 

6.9.0 을 설치하려고 했는데, 6.4.1이 설치되어있다.  일반적인 이유는 어쩌구 저쩌구..

 

내용은, nodejs 프로그램제거, %programfiles%\nodejs 내용, 폴더 삭제,

%appdata%\npm, %appdata%\npm-cache 다 삭제.

node, npm과 관련된 path 모두 삭제 (시작 검색에서 환경변수 입력)

그리고 재인스톨.... 하라고 했는데도 잘 안됩니다.

 

조금 삽질을 하다가.. 검색으로 해결 했는데 아래처럼 하여 해결 하였습니다.

https://github.com/coreybutler/nvm-windows/issues/300#issuecomment-476728267

 

nodejs 폴더로 가서 기존 npm, npx 명령어들을 다음으로 변경

npm1.cmd, npm1, npx1, npx1.cmd

 

그리고 npm1 update -g 실행

 

잘 됩니다.

 

 

 

npm 파일들은 새로 만들어졌네요.

'앱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kscape - 도형 머지하기  (0) 2024.06.19
Blender3d 2.82 의 창 분리하기, 창 합치기  (0) 2020.05.21
PouchDB에 관해서...  (0) 2019.02.22
예쁜 패턴 만들어주는 사이트  (0) 2018.09.28
GPG 1~8권 목차  (0) 2018.07.17

+ Recent posts